“조류 충돌 위험 여전” 제주 제2공항 안전성 논란 재점화
비상도민회의 환경조사위, 제1차 조류조사 결과 공개
“부실 조류 조사, 안전불감 제2공항 전면 재검토” 촉구
비상도민회의는 29일 민주노총 제주본부 대회의실에서 ‘제1차 조류조사 결과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부실 조류 조사, 안전불감 제2공항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제주의소리
제주 제2공항 건설사업의 최대 쟁점 중 하나인 ‘조류 충돌’ 문제와 관련해 제주제2공항강행저지비상도민회의(이하 비상도민회의)가 다시 한번 위험성을 경고하고 나섰다.
비상도민회의는 29일 민주노총 제주본부 대회의실에서 ‘제1차 조류조사 결과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부실 조류 조사, 안전불감 제2공항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비상도민회의 환경조사위는 겨울 철새인 오리과 새까지 모여드는 시기인 지난 2월4일부터 3월16일까지 양식장 배출수 주변 25곳에 대한 조류 조사를 진행했다.
일출 시, 정오경, 일몰 시 양식장 배출구 주변의 종류별 조류 개체수와 조류이동방향을 관찰, 기록하는 방식이다.
비상도민회의는 “육상 양식장이 다른 어떤 시설들보다 조류 유인 요소가 강하며, 13㎞ 반경 내 149곳의 양식장을 이전하지 않는 이상 제2공항은 입지적으로 조류 충돌로부터 결코 안전하지 않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비상도민회의는 29일 민주노총 제주본부 대회의실에서 ‘제1차 조류조사 결과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부실 조류 조사, 안전불감 제2공항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제주의소리
먼저 “새들이 해안선을 따라서만 이동한다는 것은 거짓”이라며 “가장 많았던 오리과 새들은 완전히 어두워진 후 내륙습지가 있는 방향으로 움직인 점”을 들었다.
이어 “설령 새들이 해안을 따라서만 움직인다고 해도, 항공기 이착륙지점인 신산해안 진입표면을 사이에 두고 수많은 육상 양식장이 있어 이동이 빈번하고, 항공기 비행고도도 낮기 때문에 조류 충돌 위험이 매우 높다”고 설명했다.
또 “새들이 평균 60m 이하로 난다는 것도 거짓”이라며 “평상시에는 낮게 날지만 매나 고양이와 같은 친척의 습격이 예상되면 높이 날아오르는 양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할 때도 한꺼번에 날아오르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제주 제2공항 예정지 인근 철새도래지. 반경 13km 이내에 제주섬 동쪽 철새도래지 벨트가 맞닿아 있다.
더불어 “양식장 배출수를 거르는 필터를 촘촘한 것으로 쓰면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는 국토교통부의 주장은 공공기관으로서의 체면도 팽개친 조악하고 유치한 주장”이라며 “그렇다면 왜 육상 양식장을 조류 유인시설로 지정해 제한하는 것이 필요한가”라고 반문했다.
비상도민회의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새들을 과별로 나누어 주요 먹이와 서식처, 이동성을 추가로 조사할 계획”이라며 “국토부는 새들의 서식처를 파괴하고 사람마저 위험에 빠뜨리는 전국의 신공항 건설 계획을 지금 당장 멈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도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도내 육상 양식장은 총 387곳에 달하며, 이 중 249곳이 동부 지역, 138곳이 서부 지역에 위치해 있다. 특히 공항 반경 13㎞ 내에는 149곳의 양식장이 밀집해 있다.